본문 바로가기
건강정보

건강기능식품 선택할 때 꼭 체크해야 하는 두 가지

by 울산교차로 2025. 4. 8.

건강기능식품 선택할 때 꼭 체크해야 하는 두 가지

 

한두 가지 복용하지 않는 사람이 없을 정도로 각종 건강기능식품이 인기다. 

비타민제를 비롯해 간 기능 회복, 오메가 3, 눈 영양제, 유산균 등 종류가 무척이나 다양하다. 

건강기능식품을 선택할 때 중요하게 따져봐야 할 것은 무엇인지 확인해보자.

 

2015년 백수오 사태를 기억하는가? 당시 홈쇼핑과 각 방송사의 프로그램에서 중년 여성은 반드시 먹어야 하는 것처럼 홍보한 덕일까. 백수오 제품은 그야말로 각 가정에서 상비 식품처럼 인식되었다. 

그런데 내가 먹는 제품에 독성 있는 재료(이엽우피소)가 섞여있을지도 모른다고 하니 불안과 공포는

순식간에 나라를 휩쓸었다. 

결국 관련 제품은 환불 사태로 이어졌고 건강기능식품을 화두로 국정감사도 열렸다.

 

2020년 코로나19가 덮치자 건강기능식품의 중요성이 부각되며 ‘크릴오일’은 날개 돋친 듯 팔린 제품 중 하나가 되었다. 

당시 보건교육 대상자분들에게 드시고 있는 크릴오일이 건강기능식품이 맞는지 물어본 적이 있다. 

대부분은 당연히 건강기능식품이라고 답했는데 확인 결과, ‘건강기능식품이 아니’었다. 

2020년 5월 공정거래위원회 ‘소비자24’에 따르면 건강기능식품이 아닌데도 광고에 ‘혈관에 쌓여 있는 지방을 녹임’, ‘혈관 속 지방덩어리 배출효과’등을 명시한 829건이 부당한 광고로 적발되어 온라인판매 차단조치가 내려졌다. 

2023년부터 크릴오일은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개별인정을 받았고, 건강기능식품인 크릴오일을 찾을 수 있게 되었다.

 

내가 먹는 건강기능식품 체크

지금 내가 먹는 건강기능식품이 있다면 이 두 가지 질문에 답을 해보자.

1. 이 제품은 ‘건강기능식품’이 맞을까?

2. 이 제품의 ‘성분’은 나에게 도움이 될까?

 

건강기능식품 구분하기

먼저, 건강기능식품과 헷갈리는 용어가 많은데 건강식품, 의약외품, 일반의약품을 구분해보자. 

건강기능식품은 인체에 유용한 기능성을 가진 원료나 성분을 일정량 이상 넣어서 만든 식품이다. 

건강식품은 건강보조의 목적으로 특정 성분을 추출, 농축, 정제 등의 방법으로 제조한 식품이며, 

건강보조식품, 식이보충제 등의 용어와 혼용된다. 예를 들어 홍삼으로 만든 젤리는 홍삼추출물이 들어가긴 하나 인체에 유용한 기능성을 가질 정도의 원료나 성분은 부족하므로 식품으로 분류하는 것이 맞다.

 

의약외품은 의약품이 아니며, 인체에 대한 작용이 경미하거나 직접 작용하지 않는 것으로, 

피로해소제로 먹는 박*스가 있다. 

일반의약품은 의사의 처방 없이 사용하더라도 안정성·유효성을 기대할 수 있는 것으로, 

소화제로 먹는 가스*명수가 있다. 

건강기능식품을 판별하는 가장 쉬운 방법은 아래 그림을 확인하는 것이다. 

제품에 건강기능식품 마크가 있다면 식품의약품안전처에서 인체에 유용한 기능성을 인정받은 것이다.

 

많은 분이 비슷한 디자인이라서 우측 마크와 혼동하는데, 이는 가공식품이 생산부터 유통까지 위생적으로 안전하게 관리되었다는 인증 마크이며 건강기능식품과는 관련이 없으므로 꼼꼼하게 살펴야 한다.

출처:식품의약품안전처



나에게 도움이 되는 성분인지 알아보기

아무리 좋은 건강기능식품이라도 나의 건강상태에 맞는 성분을 알맞게 먹는 것이 중요한데, 

식품의약품안전처에서 만든 웹과 애플리케이션으로 간단하고 정확하게 알아볼 수 있다.

‘식품안전나라’에 방문해 제품명을 검색하거나 원재료에 적혀 있는 원료를 검색하면

그 기능을 알 수 있다.

출처:식품안전나라
출처:식품안전나라


 

스마트폰에서는 식품안전정보 필수 앱 ‘내손안’을 설치한 후에 아래 그림과 같이 건강기능식품을 클릭해 내가 알고 싶은 제품을 검색하면 기능성 내용을 알 수 있다. 

여기에 적혀 있는 기능 외에 다른 내용이 있다면 잘못된 광고이므로 

식약처 종합상담센터 허위·과대광고 1577-1255로 신고하고, 

먹다가 건강상 이상이 생겼을 때에는 의사에게 진료를 받거나 1577-2488로 신고한다.

 

출처:식품안전나라


 

 

글 김경숙 보건교육사회적협동조합 이사장,

나우보건연구소 소장, 연성대학교 겸임교수, 영양사 

(자료제공 : 한국건강관리협회 울산지부)  

  

반응형

댓글